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홈으로
어린이박물관
정보공개
LANGUAGE
English
Chinese
Japanese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광주박물관
박물관소개
HOME
전체메뉴
SITEMAP
국립광주박물관
LANGUAGE
English
Chinese
Japanese
관람정보
관람안내
사전단체관람신청
전시해설
시설안내
주요시설
편의시설
대관안내
주차안내
찾아오시는길
전시
상설전시
특별전시
전시도록
가상현실 체험관
교육·행사
공지사항
교육프로그램
문화행사
공연
온라인 학습 영상 자료실
교육자료
읽어주는 문화유산
교육/행사 사진
예약확인/취소
소장품
소장품검색
소장품정보서비스
소장품 열람
소장품 복제
지정문화유산
큐레이터 추천 소장품
문화유산기증
기증안내
기증내역
학술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뉴스레터
학술총서
학술지
조사연구
도자아카이브
학술연구
학술심포지엄
학술자료조사
발굴조사
보존과학
보고서
도서열람실
책사랑(도서열람실) 소개
도서자료 검색
소식·참여
새소식
온라인 박물관
언론에 비친 박물관
월간소식지
국립광주박물관후원회
인사말
연혁
임원진
회원예우
공지/소식
활동앨범
박물관 친구들[자원봉사]
청소년 봉사활동
대학생 서포터즈
자주하는질문
관람후기
전자민원(불편신고)
설문조사
닫기
Gwangju National Museum
함께 빛나는 국립광주박물관
특별전시
HOME
전시
특별전시
프린트
SNS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닫기
URL
현재/예정전시
지난전시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157
개
,
페이지
1
/ 16
전체연도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페이지당 게시물수
10개
20개
50개
100개
적용
마감
<국보순회전, 모두가 함께하는 180일의 여정> 가락진 멋과 싱싱한 아름다움, 분청사기
기간
2025-05-20 ~ 2025-08-10
장소
고흥분청문화박물관(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분청문화박물관길 99)
주관
주최: 국립중앙박물관 / 공동주관: 국립광주박물관, 고흥 분청문화박물관
내용
국립광주박물관은 고흥 분청문화박물관과 함께 <국보순회전, 모두가 함께하는 180일의 여정> 가락진 멋과 싱싱한 아름다움, 분청사기를 개최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주최하는 국보순회전은 중요 문화유산을 지역에 있는 박물관에 전시하여 지역민의 관람 기회를 확대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고흥 분청문화박물관에서 개최되는 이번 전시에서는 분청사기의 가락진 멋과 싱싱한 아름다움을 선보입니다. 보물로 지정된 분청사기 상감인화 연꽃 넝쿨무늬 병을 비롯해 이건희 기증품 중 분청사기 7점을 포함해 총 8점의 분청사기를 전시합니다.
꾸밈이 없으면서도 살아 움직이는 듯한 도자기. 조선시대 도자기만의 독특한 개성을 담고 있는 분청사기를 이번 특별전에서 만나보세요.
마감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 상형토기와 토우장식 토기
기간
2024-11-12 ~ 2025-03-10
장소
기획전시실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내용
국립광주박물관은 특별전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을 개최합니다.
고대 신라·가야의 장송의례에 사용되었던 상형토기와 토우장식 토기는 사람, 동물, 사물 등을 본떠 만든 것입니다. 이 그릇에는 죽은 이의 마지막을 함께 하고, 죽음 이후에도 평안한 삶이 계속되기를 바라는 고대인의 마음이 깃들어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 경주 미추왕릉지구 계림로 30호 무덤 출토 토우장식 긴목 항아리(국보)를 비롯한 신라·가야의 상형토기와 토우장식 토기 250여 점을 공개합니다. 또한 호남 지역에서 찾은 상형토기를 함께 소개하여 여러 지역의 장송의례를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1600년 전 죽은 이와 함께 했던 특별한 동행자가 전하는 이야기 속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개막식: 2024. 11. 11.(월) 16:00~17:00
※ 휴관일: 2025. 1. 1.(수, 신정) / 1. 29.(수, 설날)
마감
제35회 어린이 문화유산 그리기 대회 우수작품전
기간
2024-10-26 ~ 2024-12-08
장소
국립광주박물관 전시관 2층 다목적실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기획운영과
마감
도자기, 풍류를 품다
기간
2024-06-21 ~ 2024-09-26
장소
기획전시실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내용
생기 가득한 6월
국립광주박물관은 특별전 “도자기, 풍류를 품다”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우리나라 전통 문화유산인 도자기를 전라남도의 중요한 문화자산인 정자亭子와 엮어 ‘조선시대 풍류風流’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풀어보는 전시입니다.
풍류는 사전적 의미로 ‘풍치가 있고 멋스럽게 노는 일’을 뜻합니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자연 속에서 차와 술을 나누고, 시문을 짓고 읊으며, 음악을 애호하는 등의 풍류를 즐겼습니다. 풍류로 대표되는 공간인 정자와 풍류를 즐겼던 곳에 자리했던 도자기에서 ‘조선시대 풍류문화’를 이해하고자 합니다. 전시품은 누정 관련 옛 문헌과 보물 <희경루방회도>, 보물 <백자 청화 소상팔경문 팔각 연적> 등 180건 196점을 선보입니다.
풍류를 품은 그릇에서 옛사람의 멋을 공감하며, 바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위로와 즐거움을 선사해주는 시간이 되길 바라며 풍류의 또 다른 공간 속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전시기간) 6. 21.(금) ~ 9. 26.(목)
※ 휴관: 9. 17.(화, 추석)
□ 전시내용
Ⅰ. 풍류의 공간, 누각과 정자
ㅇ 풍류를 즐기다, 누樓와 정亭
ㅇ 무등산 자락 속 정자와 문학
Ⅱ. 최고의 민간 정원 소쇄원 그리고 도자기
Ⅲ. 풍류를 즐긴 자리의 도자기
ㅇ 흙 속에서 찾은 옛 풍류 반갑구나
ㅇ 빙빙 도는 물살에 잔 띄우며
ㅇ 옛사람의 시흥에 취하는구나
Ⅳ. 풍류를 품은 도자기
ㅇ 귀한 물건 가득 채워 바라보니
ㅇ 호수에 비친 가을 달빛에 물드네
ㅇ 돌 하나 꽃 하나 마주하고
ㅇ 사철 지지 않는 군자의 꽃 피었네
마감
〈국보순회전: 모두의 곁으로〉 도자기에 핀 꽃, 상감청자
기간
2024-06-11 ~ 2024-09-08
장소
고려청자박물관(전남 강진군 대구면 청자촌길 33)
주관
주최: 국립중앙박물관 주관: 강진군 고려청자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내용
국립광주박물관은 고려청자박물관과 함께
〈국보순회전: 모두의 곁으로〉 도자기에 핀 꽃, 상감청자를 개최합니다.
국보순회전은 교과서에 나오는 중요문화유산을 지역에 있는 박물관을 직접 찾아 선보이는 전시로, 국립중앙박물관이 주최하고 전국의 소속 국립박물관과 개최지로 선정된 12개 지역의 공립박물관이 공동주관하는 순회전시입니다.
우리 역사와 문화를 담은 소중한 문화유산의 아름다움과 그 가치를 함께 공유하는 뜻 깊은 전시입니다.
마감
제34회 어린이 문화재 그림전
기간
2023-10-21 ~ 2023-11-30
장소
국립광주박물관 다목적실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기획운영과
마감
애중愛重, 아끼고 사랑한 그림 이야기
기간
2023-09-15 ~ 2023-12-10
장소
기획전시실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내용
지난 3월, 국립광주박물관은 미국에서 소중한 조선 후기 그림 4건을 수증하였습니다.
이 작품들은 게일 허 여사의 소장품으로, 50여 년 전 시아버지 고故 허민수 선생이
아들 내외에게 준 선물이었습니다.
세대를 이어 아끼고 사랑했던 그림들이 긴 여정을 마치고 고향의 품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번 특별전에는 미국에서 수증한 조선 후기 서화 4건 12점을 포함하여
관련 서화 총 46건 83점의 작품을 모아 함께 선보입니다.
소중히 아끼고 사랑했던 옛 그림들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전시기간) 9. 15.(금) ~ 12. 10.(일)
※ 휴관: 9. 29.(금) 추석, 11. 6.(월) 정기휴관일
□ 전시연계강연회
○ 장소: 국립광주박물관 대강당
○ 일정
9.26.(화) 14:00~16:00 | 고 허민수 선생 기증 이야기 | 권혜은(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
10.24.(화) 14:00~16:00 | 조선시대 회화사에서 《석농화원》의 위상과 가치 | 유홍준(전 문화재청장)
11.21.(화) 14:00~16:00 | 소동파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 김울림(국립익산박물관장)
마감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연계 공동주최 전시<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
기간
2023-04-07 ~ 2023-07-09
장소
국립광주박물관 기획전시실, 중앙홀, 정원, 다목적실
주관
(재)광주비엔날레, 광주광역시, 국립광주박물관
내용
제14회 광주비엔날레의 제목이자 주제인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는 도가의 근본 사상을 담은 『도덕경道德經』에서 비롯한 것으로 이질성과 모순을 수용하는 물의 속성을 함축하고 있다. 이번 비엔날레는 전환과 회복의 가능성을 가진 물을 은유이자 원동력, 방법으로 삼고 이를 통해 우리가 사는 지구를 저항과 공존, 연대와 돌봄의 장소로 상상해 볼 것을 제안한다. 오랜 시간에 걸쳐 스며드는 부드러움으로 변화를 가져오는 물의 힘을 새로운 표본으로 삼아 참여 작가들과 함께 분열과 차이를 포용하는 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번 비엔날레 전시는 네 가지 소주제로 전시의 대주제를 탐구한다. 국립광주박물관에서는 소주제 중 특히 ‘일시적 주권’(Transient Sovereignty)과 관련된 다수의 작품을 선보인다. 전시에서는 후기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미술 사상이 이주, 디아스포라 같은 주제와 관련해 발전한 방식에 주목한다. 아울러 다양한 형식으로 인간의 권리 침해를 다루는 작품을 소개하며 억압, 차별과 같은 이슈를 아우른다. 또 광주박물관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특징에 따라 광주 지역 역사와 밀접한 작품도 소개한다.
□ 참여작가 : 캔디스 린Candice Lin, 구철우Cheol-woo Gu, 김기라Kira Kim, 유키 키하라Yuki Kihara, 제임스 홍James T. Hong, 솝힙 피치Sopheap Pich
□ 전시품 : 캔디스 린 등 참여작가 6인 작품 6건,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백자 대접>(신안16) 등 764점
□ 전시해설 프로그램 <큐레이터와의 대화>
- 일 시 : 2023.4.26.(수)
- 대 상 : 누구나
- 신청방법 : 현장접수
□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
- 주 제 :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작품 감상교육 및 작품 연계 체험
- 활동내용 : 유키 키하라 작품 연계 레진아트 그립톡 체험, 작품 캡션 쓰기
- 교육 일시 : 4.22.(토), 5.13.(토), 5.20.(토), 6.17.(토), 6.24.(토), 7.08(토) / 14:00-16:00
- 교육 대상 : 초등학생 동반 가족 회당 30명(15가족 내외)
- 교육 장소 : 국립광주박물관 교육관 체험학습실, 전시관
- 교육 비용 : 무료
- 접수 일시 : 4.11.(화)~ 마감 시까지 (선착순 마감)
- 접수 방법 : 국립광주박물관 누리집(http://gwangju.museum.go.kr) 신청 접수
*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열리는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전시는 (재)광주비엔날레와 국립광주박물관이 공동 주최합니다.
마감
고 이건희 회장 기증 국립광주박물관 특별전 '어느 수집가의 초대'
기간
2022-10-05 ~ 2023-01-29
장소
기획전시실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내용
광주에서 어느 수집가의 이야기가 다시 시작됩니다.
고 이건희 회장 기증 국립광주박물관 특별전 “어느 수집가의 초대”는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어느 수집가의 초대'를 바탕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이건희 기증품을 엄선하여
한국 전통 미술의 진수를 보여주는 전시로 새롭게 구성하여 선보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이건희 기증품의 첫 지역 나들이인 이번 특별전에서
전통을 보는 수집가의 안목과 취향을 함께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전시 관람 안내]
□ 전시기간: 2022. 10. 5. ~ 2023. 1. 29.
* 정기휴관일: 2022.11.7.(월), 2023. 1. 1.(일), 1. 22.(일) 설날
□ 입장료: 무료
□ 관람방법: 일반관람
* 관람상황에 따라 전시기간 중 예약제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예약제 전환 시 사전 공지 예정
□ 전시해설: 오디오해설
오디오클립→국립광주박물관 채널→[특별전] 고 이건희 회장 기증 '어느 수집가의 초대'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10537
* 전시실 내에서는 이어폰을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서화 유물 보호를 위한 대표 서화 전시품 교체 전시일정 안내
정 선, <인왕제색도> 10.5. ~ 10.31.
정약용, <정효자전> 11. 1. ~ 11. 30.
정약용, <정부인전> 12. 1. ~ 12. 30.
김홍도, <추성부도> 12. 31. ~ 2023. 1. 29.
* 서화 작품 교체전시 전체 일정은 붙임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감
남도문화전 '여수 - 그 시절의 바다'
기간
2022-05-02 ~ 2022-08-15
장소
국립광주박물관 기획전시실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 여수시
내용
국립광주박물관과 여수시는 일곱 번째 남도문화전으로
‘여수麗水, 그 시절의 바다’를 개최합니다.
아름다운 바다를 낀 여수는
예로부터 다양한 문화가 오고가는 교류의 중심지였습니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선사시대부터 근현대까지 이곳에 스며 있는
역사와 문화의 오랜 이야기를 펼쳐보았습니다.
한 도시의 기억 속에서
남도 문화의 진수와 낭만의 장소로
새롭게 빛나는 여수를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o 전시해설 프로그램(큐레이터와의 대화)
- 2022년 5월 25일(수) 16~17시 여수의 선사·고대문화 / 온라인(유튜브)
- 2022년 6월 29일(수) 16~17시 여수의 중세·근대문화 / 온라인(유튜브)
o 특별전 연계 초청특강(유튜브 동시 생중계)
- 2022년 5월 24일(화) 14시 여수의 선사와 고대 - 이동희(인제대학교)
- 2022년 6월 28일(화) 14시 여수 흥국사의 불교문화 - 김정희(원광대학교)
- 2022년 7월 26일(화) 14시 여수의 일제강점기 - 김인덕(청암대학교)
o 교육 체험 프로그램
- 숨은여수찾기 : 박물관에 있는 여수 문화재 탐색 스크래치 활동지 / 전시실 체험
- 여수로‘또’ : 활동 완료 → 코인 증정 → 여수 관련 문화상품 뽑기 / 전시실 체험
- 여수 빛그림 : 전시실에 있는 PVC 카드에 그림 그리기 / 전시실 체험
- 여수 사파리 : 여수의 동물 이미지 활용 미니 오토마타 제작 교육키트 / 비대면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