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홈으로
어린이박물관
정보공개
LANGUAGE
English
Chinese
Japanese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광주박물관
박물관소개
HOME
전체메뉴
SITEMAP
국립광주박물관
LANGUAGE
English
Chinese
Japanese
관람정보
관람안내
사전단체관람신청
전시해설
시설안내
주요시설
편의시설
대관안내
주차안내
찾아오시는길
전시
상설전시
특별전시
전시도록
가상현실 체험관
교육·행사
공지사항
교육프로그램
문화행사
공연
온라인 학습 영상 자료실
교육자료
읽어주는 문화유산
교육/행사 사진
예약확인/취소
소장품
소장품검색
소장품정보서비스
소장품 열람
소장품 복제
지정문화유산
큐레이터 추천 소장품
문화유산기증
기증안내
기증내역
학술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뉴스레터
학술총서
학술지
조사연구
도자아카이브
학술연구
학술심포지엄
학술자료조사
발굴조사
보존과학
보고서
도서열람실
책사랑(도서열람실) 소개
도서자료 검색
소식·참여
새소식
온라인 박물관
이벤트게시판
언론에 비친 박물관
월간소식지
국립광주박물관후원회
인사말
연혁
임원진
회원예우
공지/소식
활동앨범
박물관 친구들[자원봉사]
청소년 봉사활동
대학생 서포터즈
자주하는질문
관람후기
전자민원(불편신고)
설문조사
닫기
Gwangju National Museum
함께 빛나는 국립광주박물관
특별전시
HOME
전시
특별전시
프린트
SNS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닫기
URL
현재/예정전시
지난전시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156
개
,
페이지
2
/ 16
전체연도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페이지당 게시물수
10개
20개
50개
100개
적용
마감
제33회 어린이 문화재 그림전
기간
2021-11-27 ~ 2022-03-01
장소
국립광주박물관 다목적실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기획운영과
내용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수미)은 오는 11월 27일(토)부터 2022년 3월 1일(화)까지 전시관 2층 다목적실에서 “제33회 어린이 문화재 그림전”을 개최한다. 본 전시는 지난 9월 13일(월)부터 10월 12일(화)까지 운영한 ‘제33회 어린이 문화재 그리기 잔치’의 수상작품을 모아 마련된 전시이다.
‘제33회 어린이 문화재 그리기 잔치’는 어린이들이 자신만의 시각으로 문화재를 감상하고, 재창작하는 과정을 통해 문화유산에 흥미를 갖고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마련된 행사이다. 어린이들은 행사 기간 동안 국립광주박물관 전시실에 있는 문화재를 보고 자신의 느낌을 자유로이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광주ㆍ전남 지역 초등학교 어린이 230명이 참가하여 각자의 솜씨를 뽐냈다.
참가작품을 대상으로 무등현대미술관 정송규 관장,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박홍수 교수, 전남대학교 에술대학 서기문 교수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의 심사를 거쳐 60명의 수상작을 선정하였다.
수상작은 대상 1명, 최우수상 6명, 우수상 10명, 장려상 43명으로 대상(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은 ‘소원을 빌어봐!(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를 그린 영산초등학교 2학년 김지원 어린이가 수상하였다.
심사위원단은 “어린이의 맑고 순수한 감성이 드러난 작품이 많았다”고 평하였으며, “순수함에서 오는 독창적인 작품성이 돋보이는 작품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다.”고 하였다.
이번 그림전의 수상작은 전시관 2층 다목적실에서 감상할 수 있으며, 어린이들이 바라본 아름다운 우리 문화재의 또 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감
함평 예덕리 신덕고분 - 비밀의 공간, 숨겨진 열쇠
기간
2021-07-19 ~ 2021-10-24
장소
국립광주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내용
특별전 함평 예덕리 신덕고분 - 비밀의 공간, 숨겨진 열쇠
전시기간 : 2021.07.19.(월) ~ 2021.10.24.(일)
전시장소 : 국립광주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
전시유물 :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금동관 등 800여 점
국립광주박물관은 2021년 특별전 <함평 예덕리 신덕고분 - 비밀의 공간, 숨겨진 열쇠
>을 개최합니다.
함평 예덕리 신덕고분은 한국 서남부 일대에서만 확인되고 있는 삼국시대 장고분(長鼓墳; 장고 모양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중 하나입니다. 무덤의 모양이 일본 고훈시대[古墳時代]의 주요 무덤인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과 비슷하여 주목을 받았지만, 이러한 무덤이 조사된 바가 없어 그 정체가 미스터리로 남아있었습니다. 30년 전인 1991년 3월, 도굴된 신덕고분을 발견한 국립광주박물관은 무덤 내부에 대한 긴급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이 조사과정에서 장고분의 매장시설이 돌방(石室)임을 최초로 밝혔고, 내부에서 화려한 장신구를 포함한 다량의 유물을 확인하였습니다. 그 후 도굴되었던 유물을 다시 찾았고, 3차례의 추가 발굴조사를 거치면서 무덤에 대한 자료가 차곡차곡 쌓였습니다. 고분 발굴 30주년을 기념하는 이번 특별전시에서는 출토되었던 유물을 처음으로 한데 모아 전시하고, 그동안 학계에서 연구되었던 성과를 정리하여 공개합니다. 무덤, 죽은 이를 위한 공간 속에 담긴 1,500여 년 전의 삶에 대한 이야기에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마감
제13회 광주비엔날레 '떠오르는 마음, 맞이하는 영혼'
기간
2021-04-01 ~ 2021-05-09
장소
국립광주박물관 기획전시실, 중앙홀, 정원
주관
(재)광주비엔날레, 광주광역시, 국립광주박물관
내용
제13회 광주비엔날레
‘떠오르는 마음, 맞이하는 영혼 Minds Rising, Spirits Tuning’
2021. 4. 1. ~ 5. 9.
참여작가 : 갈라 포라스-킴Gala Porras-Kim, 세실리아 비쿠냐Cecilia Vicuna, 알리 체리Ali Cherri, 크리산네 스타타코스Chrysanne Stathacos, 테오 에쉐투Theo Eshetu, 트라잘 하렐Trajal Harrell, 파리드 벨카이아Farid Belkahia
출품기관 : 국립광주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춘천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가회민화박물관, 샤머니즘박물관
전 시 품 : 갈라 포라스-킴 <우리를 구속하는 장소로부터의 영원한 도피>(2021), 감로도(1649) 등 25건
제13회를 맞이하는 광주비엔날레는 ‘떠오르는 마음, 맞이하는 영혼Minds Rising, Spirits Tuning’을 주제로, 전시 및 퍼포먼스 프로그램, 온라인 출판 플랫폼, 퍼블릭 포럼 등을 마련해 예술가, 이론과학자, 사상가들을 한자리에 모으는 역동적인 콘텐츠로 구성됩니다. 공동 예술감독 데프네 아야스Defne Ayas와 나타샤 진발라Natasha Ginwala가 기획한 이번 광주비엔날레는 ‘확장된 마음extended mind’의 드넓은 세계를 예술적, 학술적 관점에서 살펴봅니다.
국립광주박물관에서는 죽음에 대한 인류의 다양한 해석, 영적인 오브제가 발하는 힘, 애도의 과정 등에 대한 주제를 다룬 전시를 선보입니다. 만다라꽃이 발산하는 덧없는 찰나의 아우라부터 ‘죽은 자들의 도시’라는 뜻을 가진 고대의 대형 묘지 네크로폴리스의 적막함이 자아내는 외로움까지, 여러 예술작품과 박물관에서 출품한 유물을 통해 선조와 이어지는 연쇄적 인과관계, 사후 세계에 대한 믿음, 동양문화권의 질병과 치유에 대한 도식화, 그리고 전 세계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온전히 죽지 못한 자들the undeads’이 실존 세계에서 가지는 중요한 역할 등을 살펴봅니다.
마감
6인의 시선,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명품 사진전
기간
2020-09-07 ~ 2020-11-08
장소
국립광주박물관 기획전시실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내용
참여작가 : 구본창, 김광섭, 김수강, 오상조, 이재용, 조성연(가나다순)
전 시 품 : '나한상' 등 사진 작품 39점
국립광주박물관은 2020년 가을 특별전으로 '6인의 시선,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명품 사진전'을 개최합니다. 국립광주박물관에 소장된 많은 명품들을 사진작가 6인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기록한 사진전입니다. 우리 박물관 큐레이터가 추천한 명품들, 또 관람객 여러분들의 손으로 선정한 국립광주박물관의 대표 문화재들을 새로운 시선으로 감상할 수 있는 전시입니다. 오랜 시간 우리 문화재를 촬영해 온 6명의 전문 사진작가들의 시선으로 재해석된 명품들을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 관람 일정은 광주광역시 내 코로나-19 확산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니 누리집을 참조 바랍니다.
** 국립광주박물관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 전시 영상을 공개하였으니 많은 관람 바랍니다.
6인의 시선,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명품 사진전 티저 영상
마감
남도불교문화연구회 기증 탁본전-남도 불교 천년의 증언
기간
2020-05-11 ~ 2020-08-09
장소
기획전시실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내용
남도 불교 천년의 증언, 남도불교문화연구회 기증 탁본전
전시장소 : 국립광주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
전시기간 : 2020.05.11.(월) ~ 08.09.(일)
전 시 품 : 순천 송광사 사적비 등 45건
국립광주박물관은 2020년 특별전 <남도 불교 천년의 증언, 남도불교문화연구회 기증 탁본전>을 개최합니다. 호남지역의 금석문을 30여년간 탁본하고 연구해 온 남도불교문화연구회의 기증품을 소개하는 뜻깊은 전시입니다. 남도의 사찰에는 사적비, 고승 비문, 탑, 동종 등에 수많은 금석문이 남아 있습니다. 여기에는 1,0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우리 지역의 불교 문화를 만들어 온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깃들어 있습니다. 왕과 관료, 지역의 정치세력에서부터 덕이 높은 스님들, 그리고 일반 신도들에 이르기까지 셀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의 흔적이 살아 숨쉬고 있는 생생한 역사의 증언입니다. 오랜 세월을 지나 간직되어 온 불교 문화와 역사의 증언들을 감상하시기 바랍니다.
'남도 불교 천년의 증언' 전시실 투어 영상보기
남도 불교 천년의 증언 - 남도불교문화연구회 탁본의 기록 영상보기
마감
근대의 전통화가들: 호남과 서울
기간
2019-09-27 ~ 2019-11-24
장소
국립광주박물관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내용
근대의 전통화가들 호남과 서울
조선 시대 회화의 역사는 도읍인 ‘한양’을 중심으로 펼쳐졌습니다. 개항 후 급격히 밀려든 근대 문명의 영향으로 전통회화가 변화할 때도 그 변화의 중심지는 ‘경성’이었습니다. 이처럼 우리 회화의 역사는 ‘서울’을 무대로 전개되어 온 듯하지만, 지방 미술의 흐름을 간과한다면 한국미술사의 전체상을 파악할 수 없을 것입니다. 특히 ‘전통회화’라면, 서울만큼 중요한 무대가 바로 ‘호남’입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개항 이후 20세기 전반에 이르기까지 서울에서 활동한 전통화가 소림小琳 조석진趙錫晋, 심전心田 안중식安中植, 그리고 이당以堂 김은호金殷鎬의 작품을, 그들과 동년배인 석지石芝 채용신蔡龍臣, 미산米山 허형許瀅, 그리고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의 호남 지역 활약상과 함께 나란히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같은 시대에 태어났지만, 호남과 서울, 두 지역으로 나뉘어 활동한 그들의 인생은 의도치 않은 곳에서 교차하였고, 닮은 듯 닮지 않은 저마다의 예술 세계를 형성하였습니다.
전시는 채용신(1850년생)과 조석진(1853년생), 안중식(1861년생)과 허형(1862년생), 그리고 허백련(1891년생)과 김은호(1892년생), 총 6인의 인생과 예술을 짝지어 살펴볼 수 있도록 총 3장으로 구성됩니다.
1장 전통과 개화, 경계 위의 화가들: 채용신(1850~1941)과 조석진(1853~1920)
조선은 1876년에 일본과 강화도조약을 체결하면서 서구와 일본의 근대 문명을 본격적으로 받아들였습니다. 1850년대에 태어난 채용신과 조석진은 개항 당시 이미 20대 후반의 청년으로, 이미 전통사회의 관습에 익숙해진 상태에서 근대 문명과 미술을 받아들여야만 했습니다.
1897년 10월, 대한제국을 반포하고 황제의 지위에 오른 고종은 제국의 존재를 국제사회에 알리고 황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어진 제작을 추진하였는데, 이 때 주관화원이 바로 조석진과 채용신이었습니다. ‘근대’ 국가를 표방하는 대한제국의 ‘전통적’ 어진 제작에 함께 봉사하게 된 조석진과 채용신은 전통과 개화, 그 경계 위에 선 화가들이었습니다.
1. 석지 채용신(1850~1941), <고종의 초상(高宗御眞)>, 1902년 이후, 비단에 색絹本彩色, 국립중앙박물관 소장(1981년 동원 이홍근 기증)
2. 소림 조석진(1853~1920), <쏘가리(?魚圖)>, 1898년, 비단에 엷은 색絹本淡彩, 홍익대학교박물관 소장
2장 화가들을 이끈 화가들: 안중식(1861~1919)과 허형(1862~1938)
19세기 말 근대화된 사회 속에서 조선의 ‘서화書?’는 새로운 용어인 ‘미술美術’로 재정립되고, 미술과 관련된 새로운 개념의 제도와 단체가 속속 등장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시간차를 두고 지방으로 전파되었습니다. 안중식과 허형은 1860년대 초반에 태어난 동년배이지만, 서울에서 활동한 안중식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미술가 집단인 서화미술회, 서화협회 등을 이끌었고, 호남에서 활동한 허형은 전통적 도제徒弟 교육을 이어가며 지역의 화실 운림산방을 이끌었습니다. 단체의 성격은 서로 달랐을지 몰라도, 다음 세대 화가 지망생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며 지역 예술 발전에 기여한 점은 함께 평가받아야 할 것입니다.
3. 심전 안중식(1861~1919), <체화정에서 바라본 영광의 풍경(靈光風景圖)>, 1915년, 비단에 엷은 색絹本淡彩,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4. 미산 허형(1862~1938), <모란(墨牡丹圖)>, 20세기 전반, 종이에 먹紙本水墨, 성옥문화재단 소장
3장 개화기 새로운 무대 위의 화가들: 허백련(1891~1977)과 김은호(1892~1979)
20세기 초 서화협회 등 미술단체들이 개별적으로 개최해 오던 미술전람회는, 1922년 조선총독부가 주최한 조선미술전람회(鮮展)의 시작과 함께, 미술가들의 주요 활동 무대로서 확고한 위상을 다지게 됩니다. 원칙적으로 전국의 미술가들에 평등하게 출품의 기회가 주어졌지만, 경성의 최신 화풍과 심사위원들의 심사 경향을 파악할 수 없었던 지방 화가들에게 선전은 너무나 멀고 어려운 무대였을 것입니다. 1890년대에 태어난 허백련과 김은호는 젊은 시절부터 함께 선전에 참가하여 왔지만, 이내 전람회에 대한 입장을 서로 달리하며 호남과 서울로 나뉘어 활동하였고, 서로 다른 예술 세계를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5. 의재 허백련(1891~1977), <낚시하고 돌아가다(歸釣)>, 1928년, 비단에 먹과 엷은 색絹本水墨淡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1981년 동원 이홍근 기증)
6. 이당 김은호(1892~1979), <새를 바라보는 여인(美人圖)>, 20세기 전반, 종이에 색紙本彩色, 국립중앙박물관 소장(1981년 동원 이홍근 기증)
* 전시 기간 중 전시관 2층 서화실에서는 특별전에서 모두 소개하지 못한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호남 출신 화가들의 전통회화가 함께 전시됩니다.
* 전시 연계 행사 안내
1. 연계 강연회
- 일시 : 2019. 10. 2. (수) 16:00~18:00
- 장소 : 국립광주박물관 대강당
- 강사 : 이선옥 의재미술관장
- 내용 : 조선 중기 해남 윤씨 일가부터 오지호, 기환기, 천경자 등의 서양화가에 이르기까지 호남 출신 미술가들의 이야기
* 상기 내용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2. 전시 설명회(큐레이터와의 만남)
- 일시 : 2019. 10. 30. (수) 16:30~17:30
- 장소 : 국립광주박물관 기획전시실
마감
제32회 어린이 문화재 그림전
기간
2019-07-16 ~ 2019-09-01
장소
교육관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내용
제32회 어린이 문화재 그림전
마감
중국 자주요 도자 명품전 - 흑백의 향연
기간
2019-05-28 ~ 2019-08-18
장소
국립광주박물관 기획전시실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내용
자주요(磁州窯)는 중국 허베이성[河北省] 한단시[邯鄲市] 츠현[磁縣]에 위치한 도자기 가마로, 남북조시대부터 오늘날까지도 도자기를 만드는 중국 북방 최대의 민간 가마이다. 거친 태토 위에 하얀 화장토를 발라 표면을 깨끗이 단장하는 ‘화장토 도자기’가 대표적인 생산품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중국 1급 유물(*우리나라의 국보와 같음) 13점을 포함하여 중국 자주요박물관의 대표 소장품 117점을 선보인다.
전시는 모두 4부로 구성하였다. 1부 ‘가마에 불을 지피다-고대의 자주요’에서는 자주요에서 도자기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남북조시대부터, 자주요의 특징인 화장토 도자의 시원적인 모습이 나타나는 수·당대까지의 도자를 살펴본다. 자주요에서는 남북조시대 말기인 동위(東魏, 534~550)때부터 청자를 생산하였다. 수·당대가 되면 유약 색이 다양해지고, 표면에 문양을 찍어 나타내는 등 그릇 표면이 다채로워지기 시작한다.
2부는 ‘흑백의 절정-송·금·원의 자주요’라는 주제로, 자주요 도자가 그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며 발전한 시기인 송·금·원대 자주요 도자의 특징을 기법별로 살펴본다. 중국 도자는 북송(北宋, 960~1127) 시기부터 크게 발전하였는데, 자주요 도자 역시 이 시기에 가장 융성하였다. 자주요 도자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표면에 화장토를 발라 단장하는 ‘백토분장’이다. 도자기 표면을 하얗고 깨끗하게 단장하면서 여기에 무늬를 새기는 다양한 기법이 나타났다. 나아가 하얀 바탕에 검은 안료로 자유자재로 그림을 그려넣는 ‘백지흑화(白地黑畵)’ 도자기가 대표적인 생산품으로 출현하였고, 그림 뿐만 아니라 시를 적어넣는 등 표면 장식이 화려하게 발전하였다.
3부 ‘민중의 꿈-도자기 베개’에서는 자주요의 특징적인 기종 중 하나인 도자기 베개를 살펴본다. 자주요에서는 중국 전 지역에서 가장 많은 도자기 베개를 만들었다. 도자기 베개를 베고 꾼 꿈 이야기인 ‘한단의 꿈’이라는 옛 이야기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한단 지역에 위치한 자주요는 도자기 베개와 깊은 관련을 가진 곳이었다. 자주요의 장인들은 대대로 도자기 베개를 만들며 생업을 이어나갔다. 도자기 베개 아랫면에 찍힌 ‘장가조(張家造:장씨 집안이 만듦)’ ‘이가조(李家造:이씨 집안이 만듦)’ 등의 도장에서도 볼 수 있듯이, 도자기 베개는 민중의 삶과 깊은 관련이 있는 기물이었다.
4부는 ‘은은한 여운-명·청·20세기의 자주요’ 라는 주제로,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가면서도 전통을 유지하는 자주요 도자의 변화상을 소개한다. 명(明, 1368~1644) 때에는 자주요 도자기 생산의 중심 가마가 팽성진 근처로 이동하면서 연한 갈색으로 그림을 그린 도자기가 유행한다. 청(淸, 1616~1912)에 들어서면 중국 남부 경덕진의 청화백자가 유행하면서 자주요의 장인들도 코발트 안료를 사용한 청화백자의 생산에 뛰어들게 된다. 새로운 재료와 미감을 보여주면서도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검은색과 갈색 안료를 함께 사용하면서 자주요만의 독특한 미감을 보여준다.
전시의 후반부에서는 자주요 도자의 오늘날을 만날 수 있어 주목된다. 자주요 도자의 제작 기법을 보여주는 영상과 함께, 현대 자주요에서 만들어진 현대 재현품과 재료를 함께 소개한다. 자주요의 전통은 과거의 영광에 그치지 않고 오늘날까지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그리고 이 전시에서는 국립광주박물관에 소장된 자주요 도자를 함께 소개한다. 원대의 무역선인 신안선에는 2만여점이 넘는 중국 도자기가 상품으로 실려 있었다. 이중에는 자주요 도자도 포함되어 있어, 원대 자주요 도자가 중국 내 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수출되는 무역품으로도 선호되고 있었던 모습을 잘 보여준다.
마감
대한민국 100년, 역사를 바꾼 10장면
기간
2019-02-28 ~ 2019-12-15
장소
국립광주박물관 전시관 1층 로비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내용
전시명칭 :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전시
대한민국 100년, 역사를 바꾼 10장면
전시기간 : (5차 전시) 2019. 11. 11. ~ 12. 15.
전시장소 : 국립광주박물관 전시관 1층 로비
주 최 : 국립광주박물관·대한민국역사박물관
문 의 : 062-570-7034
국립광주박물관은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년을 기념하기 위해 대한민국역사박물관과 공동으로 개최하는 특별전 '대한민국 100년, 역사를 바꾼 10장면'을 2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한다.
박물관은 대한민국의 역사를 바꾼 사건으로 민중이 역사의 주인으로 나섰던 △ 3.1운동, △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 독립운동, △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복, △ 헌법 제정과 정부 수립, △ 6.25 전쟁, △ 4.19 혁명, △ 5.18 광주민주화운동, △ 87년 6월 민주항쟁과 촛불 등을 꼽았다. 전시는 사건이 발생한 순으로 2개의 주제를 묶어 열리며, 주제별로 생동감 있는 사진과 관련 자료 10점씩을 공개한다.
현재 3.1운동부터 4.19 혁명까지 살펴 보았고 △ 5.18 광주민주화운동, △ 87년 6월 민주항쟁과 촛불을 주제로 한 마지막 전시를 11월 11일부터 12월 15일까지 개최한다.
제 9장면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서는 한국 현대사 최대의 민주화 운동인 5.18에 대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요 사건을 소개한다. 또한 치열한 현장에서 살아남은 생존자들의 증언을 전시품과 함께 보여줌으로서 5.18의 아픔과 민주화에 대한 염원을 전달한다.
제 10장면 ‘6.10 민주 항쟁과 촛불’에서는 민주국가를 향한 국민들의 저항이 폭발한 1987년 6.10 민주 항쟁의 경과를 살펴보고, 그 결실인 대통령 직선제로의 개헌까지 흐름을 살펴본다.
아울러 1987년 6.10 민주 항쟁으로 얻어낸 미완의 민주화가 2016년 광장에서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완성되었던 순간도 함께 살펴 볼 수 있다.
마감
全羅千年-전라도 천년을 지켜온 사람들
기간
2018-10-23 ~ 2019-02-10
장소
국립광주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
주관
국립광주박물관
내용
특별전 <全羅千年-전라도 천년을 지켜온 사람들>
전시기간 : 2018. 10. 23. (화) ~ 2019. 2. 10. (일)
* 2018. 10. 22. (월) 개막식
전시장소 : 국립광주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
전시유물 :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현자총통 등 200여점
국립광주박물관은 전라도 정도 1,000년을 기념하여 특별전 “全羅千年-전라도 천년을 지켜온 사람들”을 개최합니다.
‘전라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사용된 행정구역 명칭으로, 『고려사』 속 현종 9년(1018)의 기록부터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라도에는 ‘전라도’라는 이름이 붙여지기 훨씬 이전부터 이 땅을 일구고, 더 나은 세상을 꿈꾸며 살아온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매우 개방적이며 진보적이어서 다른 문명을 흡수하는데 거리낌이 없었으며, 우리 역사를 뒤흔든 많은 개혁 사상을 내놓았습니다. 그리고 나라의 위기 때마다 충의와 저력을 발휘하여 이 땅을 넘어 한반도를 수호하였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천년이 넘는 세월 동안 전라도에서 이 땅을 지켜온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