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홈으로
어린이박물관
정보공개
LANGUAGE
English
Chinese
Japanese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광주박물관
박물관소개
HOME
전체메뉴
SITEMAP
국립광주박물관
LANGUAGE
English
Chinese
Japanese
관람정보
관람안내
사전단체관람신청
전시해설
시설안내
주요시설
편의시설
대관안내
주차안내
찾아오시는길
전시
상설전시
특별전시
전시도록
가상현실 체험관
교육·행사
공지사항
교육프로그램
문화행사
공연
온라인 학습 영상 자료실
교육자료
읽어주는 문화유산
교육/행사 사진
예약확인/취소
소장품
소장품검색
소장품정보서비스
소장품 열람
소장품 복제
지정문화유산
큐레이터 추천 소장품
문화유산기증
기증안내
기증내역
학술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뉴스레터
학술총서
학술지
조사연구
도자아카이브
학술연구
학술심포지엄
학술자료조사
발굴조사
보존과학
보고서
도서열람실
책사랑(도서열람실) 소개
도서자료 검색
소식·참여
새소식
온라인 박물관
이벤트게시판
언론에 비친 박물관
월간소식지
국립광주박물관후원회
인사말
연혁
임원진
회원예우
공지/소식
활동앨범
박물관 친구들[자원봉사]
청소년 봉사활동
대학생 서포터즈
자주하는질문
관람후기
전자민원(불편신고)
설문조사
닫기
Gwangju National Museum
함께 빛나는 국립광주박물관
특별전시
HOME
전시
특별전시
프린트
SNS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닫기
URL
현재/예정전시
지난전시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156
개
,
페이지
13
/ 16
전체연도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페이지당 게시물수
10개
20개
50개
100개
적용
마감
신비한 황금의 나라『新羅黃金』
기간
2001-09-21 ~ 2001-10-21
내용
신라의 화려한 금속공예품을 집성하여 체계적으로 정리·전시함으로써 관람객들이 신라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 학계에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마감
호남고고학의 성과
기간
2000-12-19 ~ 2001-02-28
내용
이번전시는 1999~2000 호남지역에서 발굴조사된 고고유적과 유물을 대상으로 야외박물관 성격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소개되는 모든 자료는 현장에서 느낄 수 있는 감동을 박물관으로 옮겨와 재구성한 것으로 신발견유물(新發見遺物)의 외출(外出)이라고 할 수 있다.
1999~2000 호남지역에서 발굴조사된 유적은 구석기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시대적 공백없이 이루어졌다. 국토개발이라는 명제아래 많은 유적이 인위적으로 파괴되거나 사라지는 와중에도 서해안고속도로 무안-군산구간, 진안용담댐수몰지구, 고흥-벌교간 국도건설 등 호남지역 여러 곳에서 발굴조사가 시행되어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진안 용담댐 수몰지구에서 전라북도 최초로 발굴조사된 진그늘 구석기유적과 완형의 빗살무늬토기를 비롯한 여러종류의 신석기시대토기편 및 굴지구등이 출토된 진안갈머리.함평 장년리유적은 백화점을 연상케하고 있다.
이밖에 고흥-벌교구간에서 출토된 가지무늬토기(彩文토器)와 요녕식동검(遼寧式銅劍), 함평-고창에 이르는 주구묘(周溝墓)와 영광 원흥리 수동 토광묘(土壙墓)의 새무늬청동기(鳥文靑銅器)등 전에 볼 수 없었던 많은 자료가 추가되어, 향후 호남지방 선사.고대문화에 대한 고고학적인 연구의 새로운 전기가 기대된다. 한편 전시기간중에 일반인의 이해를 돕고자 유적발굴조사광경의 사진과 발굴하고 있는 모습을 재현하였다.
마감
한·러 수교 10주년 기념 '러시아, 천년의 삶과 예술'전
기간
2000-10-17 ~ 2000-11-29
내용
한·러 수교 10주년 기념으로 양국간의 우호증진 및 문화교류 확대를 위해 러시아 천년의 역사와 문화의 진수를 보여주는 유물 및 예술품, 희귀자료 등 550여점 전시
마감
아름다운 금강산전
기간
1999-11-23 ~ 1999-12-26
내용
우리민족의 명산인 금강산을 주제로 한 특별전을 기획·전시하였다. 금강산은 그 정기와 아름다움을 문학과 미술로 승화시켜온 대표적인 대상의 하나였다. 그리하여 금강산 미술은 불교미술을 비롯, 회화, 도자기, 문학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전해지고 있다.
이번 전시에는 금강산 미술을 신앙(信仰), 진경(眞景), 완상(玩賞), 탐승(探勝)의 네가지 주제로 분류하여 전시하였으며 내·외금강의 주요 사찰을 찍은 유리원판 사진 패널을 전시하여 이해를 도왔다.
금강산전은 금강산의 예술을 학문적으로 규명하고 관련자료를 정리하여 선조들의 우리문화에 대한 높은 긍지와 자부심을 되새겨보고자 하였으며 남북 모두 민족의 영산으로 추앙하는 금강산을 통하여 민족의 화합을 염원하여 보고자 하였다.
마감
영산강의 고대문화
기간
1998-12-08 ~ 1999-02-07
내용
이번 전시는 영산강유역 고고학발굴조사 80년의 성과를 종합해 보는 기획전이다. 영산강유역의 고대문화는 이 지역에 인간이 들어와 살기 시작된 이래 영산강을 통한 사람들의 이주 또는 내륙과 바다의 물산이동, 문물의 교류를 비롯한 문화전파를 기저로 하여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영산강유역에 분포하고 있는 다양한 유적의 입지적 조건과 고대문화의 전개양상에서 점차 밝혀지고 있다.
발굴된 유적이나 출토품은 구석기시대의 생활모습을 알수 있는 도구에서부터 각종 마제석기, 청동기의 생산과 관계된 주범과 거울을 포함한 유물, 신창동의 다양한 토기류와 목기들, 그리고 최근 발굴된 복암리 3호분의 유물과 전방후원분까지 고고학의 최대·최신 성과를 총 망라하였다. 이번에 전시된 유물은 나주 반남 신촌리 9호분 출토 국보 295호 금동관 등 250점이며, 1998년 12월 8일부터 1999년 2월 7일까지 전시되었다.
마감
입사공예전
기간
1997-08-25 ~ 1997-10-12
내용
이 전시는 '97 광주비엔날레를 맞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 "입사공예특별전"을 우리관에 전시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금속공예 예술인 '입사기법'을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기술의 변천과정과 다양한 공예품의 양상을 통해 박물관을 찾는 국내외 관람객들에게 널리 소개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금속공예인 입사기법이 잘 나타난 삼국시대의 환두대도에서부터 고려시대의 향완과 향합, 국보 제92호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정병 등과 같은 불교 공양구의 전시로 잘보여주었으며, 조선시대의 담배합, 화로, 촛대 등 일상생활용품 그리고 입사기법에 큰 변화를 가져온 쪼음입사기법을 사용하여 만든 여의, 철퇴, 사인검, 자물통, 필통 등을 전시하였다. 전시된 유물은 청동제금은입사항아리 등 120점이며, 1997년 8월 25일부터 10월 12일까지 전시되었다.
마감
부여 능산리 출토 금동향로와 사리감전
기간
1996-04-30 ~ 1996-05-26
내용
1993년 부여 능산리 사지에서 출토된 국보 제287호 금동대향로와 국보 제 287호 금동대향로와 국보 제 288호 사리감을 함께 전시하여 사비시대 백제사의 흐름과 백제인의 예술세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시된 백제 금동대향로는 그 형태와 무늬, 장식, 그리고 제작기법이 탁월한 백제 금동 예술품의 정수이다. 향로의 전체높이는 64㎝이며 머리를 들어올린 용을 조각하여 받침을 삼고 몸체는 연꽃과 그 위에 솟아난 중첩된 산으로 구성하였으며 꼭대기에는 봉황 한 마리가 날개를 펴고 있다.
금동대향로와 함께 전시된 화강석제 사리감은 능산리사지 목탑지 심초석에서 출토된 것으로 성왕의 아들인 창왕의 누이 동생이 비극적인 최후를 마친 부왕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발원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그러한 내용을기록한 20자의 명문이 남아 있어 무령왕릉 출토 매지권과 함께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은 명문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전시기간은 1996년 4월 30일부터 5월 26일까지였다.
마감
한국근대회화 명품전
기간
1995-09-19 ~ 1995-11-05
내용
이번 전시는 한국근대회화 명품을 한자리에 모아 한국회화의 전통이 근대회화에서 현대회화로 이행해 가는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광주·전남지방은 조선시대의 恭齋 尹斗緖와 小痴 許鍊, 근대의 毅齋 許百鍊과 같은 걸출한 화가들을 배출하여 조선시대 및 근대회화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따라서 광주비엔날레 기간동안 이 지역출신 화가들을 중심으로 『한국근대회화 명품전』을 개최하여 한국전통회화의 우수성을 전세계에 소개하고 광주가 세계속에 빛나는 문화예술의 도시임을 알리고자 하였다.
전시유물은 조선시대 말기에 활동했던 이 지역의 작가 許練, 許瀅, 許百鍊을 중심으로 張承業, 李昰應, 安中植, 田琦, 劉淑, 閔泳翊 등 당대 대표적인 화가들의 작품중에서 작품성이 뛰어난 90여점을 엄선하여 산수, 화조, 사군자, 초상화 등 주제별로 전시하였다. 전시기간은 1995년 9월 19일부터 11월 5일까지였다.
마감
선원사인의 도구와 기술전
기간
1994-10-25 ~ 1994-11-26
내용
인류문화의 여명기인 구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에 이르는 선사시대 각종 생활도구의 변천과정과 제작기술의 변화와 관련하여 기술의 변화가 가져온 다양한 생활문화 양상을 체계적으로 알아 볼 수 있도록 마련되었다.
본 전시의 구성은 도구의 출현, 마제기술의 보급과 성용, 토기의 제작, 생산기술의 전개, 농경기술의 발전, 청동기의 등장 등 모두 10개의 주제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또한 각각의 주제 안에 선사인들의 생할영위에 필요했던 각종 도구를 용도별로 분류하여 복원 전시하였으며 관람객들이 실제 유물 복제품을 사용해 볼 수 있는 체험공간을 마련, 선사인의 삶의 방식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전시기간 중 야외전시장에 청동기시대 원형 주거지를 복원하여 청동기시대인들의 주거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화순 대곡리 출토 국보 제 143호 情文鏡등 250점의 유물을 전시하여 선원사인들의 도구제작기술의 진화와 관련하여 기술변화가 가져온 생활문화 양상을 조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시기간은 1994년 10월 25일부터 11월 26일까지였다.
마감
무등산전
기간
1993-10-11 ~ 1993-11-04
내용
무등산은 해발 1,178m로 광주시내 중심지에서 10㎞ 내외에 위치하고 있는 산이다. 이 전시는 광주의 진산(진산)인 무등산의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망라하여 소개함으로써 관람객들에게 무등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하였다.
전시된 유물은 충효동 고인돌 출토 석검 등 265점이며 이를 통하여 무등산지역의 문화상과 그 성격을 일목요연하게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 전시기간은 1993년 10월 11일부터 11월 4일까지였다.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11
12
13
14
15
16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